Artistist Statement

나의 할머니, 오효순
몹시 아프던 날 나를 들쳐 업고 달리던 땀에 젖은 등자락
이제 난 알지 돌아가셨어도 나에게 누나에게 살아있음을
어머니, 아버지에게 숨 쉬는 할머니의 마음은 바다처럼 넓어라.
‘할머니의 마음은 바다처럼 넓어라’ 中 루시드폴
  어린 시절 명절에만 할머니를 만났던 나에게 애틋한 할머니와의 추억은 한 손을 펴서 헤아려도 손가락 개수가 남을 만큼 별로 없었다. 그런 할머니와 갑자기 함께 살게 되었다. 아버지께서 칠순이 넘은 노모를 모시기로 하셨다. 처음엔 잘 안 들린다고 말씀하시던 할머니는 점점 기억과 인지 능력을 잃어갔다. 치매는 당사자에게도 힘든 시간이지만 가족에게도 고통이었다. 집을 나서 돌아오지 않는 날에는 온 가족이 나서 할머니를 찾아야 했고 밤새 소리를 지르시는 날에 우리는 뜬 눈으로 밤을 지새워야 했다.
  아픈 할머니를 기록해야겠다는 생각이 할머니와 교감의 시작이었다. 치매 초기에 혈기 왕성한 할머니는 이유 없이 집을 나서 거리를 방황하셨고 방에 있는 서랍을 모조리 꺼냈다 넣기를 반복하는 등 알 수 없는 행동을 하셨다. 당신을 찍는 것에 육두문자를 남발하는 할머니 앞에서 나는 카메라가 폭력은 아닐까 망설인 적도 많았다. 내가 고민의 결론을 내리기 전에 할머니께서 먼저 카메라를 신경 쓰시지 않게 되었다. 할머니와 나는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벽을 허물었다.
  할머니는 점점 기력이 쇠하셔서 걷지 못하게 되었고 가끔은 나의 존재를 그리고 가족을 몰라보게 되었다. 어느 순간 나는 카메라를 놓고 바쁜 일상에 쫓겨 살았지만 어머니께서는 변함없이 할머니를 돌보셨다. 흑백 필름을 현상하고 인화하며 간직했던 할머니의 형상이 화석이라도 된 듯 야윈 할머니의 모습만이 남았을 때 나는 의무감처럼 할머니를 다시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어머니께서 할머니와 함께 살기 시작하던 때의 연세가 되셨다. 병간호의 세월 동안 어머니는 함께 아프시고 늙으셨지만 담담하게 일상으로 받아들이셨다. 2019년 3월 1일, 할머니께서는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편안하게 소천하셨다.
  1924년생 할머니, 오효순. 
  그녀의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일제 식민지 시대, 6.25 전쟁도 아닌 6남매를 두고 먼저 세상을 떠난 남편을 대신해 짊어졌어야 할 삶의 무게를 감당하는 시간이지 않았을까? 그 짐이 너무나도 무거웠기에 할머니의 여생 동안 성하게 남은 손발톱은 없었다. 밥벌이의 무게가 남긴 몸의 기억은 치매를 앓는 동안에도 불편한 손으로 바느질을 하는 상흔을 남겼다. 그렇게 할머니는 삶을 내려놓을 때도 쉽게 놓지 못하시고 계속 꿈을 꾸셨는지도 모르겠다. 치매를 앓고 떠나신 할머니의 15년의 세월이 그동안 꿈을 꾸시다 돌아가신 것만 같다. 과거를 되돌아보며 처음엔 악몽이었을지 몰라도 마지막에는 행복한 꿈이었을 것이라고 믿는다.
  할머니 1주기를 맞아 산소에 꽃을 심었다. 화분에 담겨있던 풀과 꽃이 땅에 뿌리를 내리자마자 벌이 찾아왔다. 할머니께서 찾아와 인사를 한 것처럼 따뜻한 봄바람이 가족에게 불었다.

Hyosun Oh, My grandmother
​​​​​​​Her sweaty back carrying me on when I was very sick.
Now I know she is still with me and my sister though she went to the heaven.
Grandma’s breathing heart is wide as the ocean to my mom and dad.
‘Grandma’s heart is wide as the ocean’ song by Lucid Fall
   When I was little, I rarely met my grandmother but only on some holidays. So, I didn't have many fond memories with her that I could even count on my fingers. Yet, suddenly we got to live together as my father decided to take care of her on her seventy’s. She lost her hearing first but gradually lost her memory and cognition. Dementia was heart aching pain for herself and our family members. When she went outside and could not fine her way home, we all had to look for her. When a night of her screaming all-night came, we had to give up our sleep, as well.
  The idea of documenting my grandmother’s daily life was the point I started communing with her. At the early stages of dementia, she wandered around the streets without any reasons and repeated strange actions such as taking in and out stuff from the desk drawers. Often, she cursed me while I took her pictures, which made myself ask whether my intent is a kind of violence. She, however, started not caring of my camera before I answer the question. We finally broke down the wall between me and my grandmother by the camera.
  As time goes, she gradually became too weak to walk by herself and sometimes could not recognize me and our family members. At some point I stopped documenting her and led my busy life, but my mother kept taking care of her.
  And one day, I found that she lost almost all of her weight and only her skeletons remained on her body. Out of a feeling of duty, I started recording her into the frame again.
  Now my mother became the age of my grandmother when she moved in with us. Throughout the years of nursing, mom also got sick and aged, but she embraced the times calmly as her daily life. On March 1, 2019, my grandmother passed away in peace while her family members were with her last moment.
  My grandmother, Hyosun Oh, born in 1924.
  I think her biggest burden was not the harsh days of Japanese colonial time or Korean war but to raise six children without her husband. To survive out of her burdens, she had to work hard, and it costed almost all her nails. As her body remembered, she sewed with her uncomfortable hands even when she was suffering from the dementia. Even in the times of giving up herself, she could not let it go easily but might have kept dreaming of it. I feel like she was dreaming over the fifteen years of her dementia and left to the heaven. But I believe her dream might look like a nightmare at the beginning but eventually turned out as a sweet dream in the end.
  Marked the first-year anniversary of her death, I planted flowers around her cemetery. As soon as the flowers were moved to the ground, a honeybee came. Gentle spring breeze welcomed us just like my grandmother came and greeted us.
​​​​​​​<나의 할머니, 오효순> 展 관련 매체 소개
1. 언론 보도
- 중앙일보 ‘치매 할머니가 인형 꿰맨 사연, 손자의 카메라는 안다’ 서정민 기자 (2020년 4월 6일)
- 조선일보 [창작의 순간] ‘가족의 죽음, 그 슬픔의 언덕을 넘어‘ 조인원 기자 (2020년 5월 7일)
- 중앙SUNDAY [사진의 기억] ‘바느질의 추억만은 남아’ 박미경 류가헌 관장 (2023년 10월 7일)
- KOGAS [사람愛온도] ‘가족이라는 그리움을 담다’ 김승희 기자 (2020년 20호)
2. 방송 출연
-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 53화 ‘기억을 걷는 시간’ (2020년 5월 6일)
Back to Top